https://www.acmicpc.net/workbook/view/274
문제
KMP 알고리즘이 KMP인 이유는 이를 만든 사람의 성이 Knuth, Morris, Prett이기 때문이다.
이렇게 알고리즘에는 발견한 사람의 성을 따서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.
또 다른 예로, 유명한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 RSA는 이를 만든 사람의 이름이 Rivest, Shamir, Adleman이다.
사람들은 이렇게 사람 성이 들어간 알고리즘을 두 가지 형태로 부른다.
- 첫 번째는 성을 모두 쓰고, 이를 하이픈(-)으로 이어 붙인 것이다. 예를 들면, Knuth-Morris-Pratt이다.
- 이것을 긴 형태라고 부른다.
- 두 번째로 짧은 형태는 만든 사람의 성의 첫글자만 따서 부르는 것이다. 예를 들면, KMP이다.
동혁이는 매일매일 자신이 한 일을 모두 메모장에 적어놓는다. 잠을 자기 전에,
오늘 하루 무엇을 했는지 되새겨보는 것으로 하루를 마감한다.
하루는 이 메모를 보던 중, 지금까지 긴 형태와 짧은 형태를 섞어서 적어논 것을 발견했다.
이렇게 긴 형태로 하루 일을 기록하다가는 메모장 가격이 부담되어 파산될 것이 뻔하기 때문에,
앞으로는 짧은 형태로 기록하려고 한다.
긴 형태의 알고리즘 이름이 주어졌을 때, 이를 짧은 형태로 바꾸어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입력은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최대 100글자의 영어 알파벳 대문자, 소문자,
그리고 하이픈 ('-', 아스키코드 45)로만 이루어져 있다. 첫번째 글자는 항상 대문자이다.
그리고, 하이픈 뒤에는 반드시 대문자이다. 그 외의 모든 문자는 모두 소문자이다.
출력
첫 줄에 짧은 형태 이름을 출력한다.
음..그냥 풀었다. 괜히 정답률이 80% 넘는게 아녀...
string[x]가 대문자인지만 판단해서 대문자면 출력문에 글자를 추가하는 형식으로
짜 봤다.
'Programming > ACMICP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CMICPC 1267 핸드폰 요금 (0) | 2015.08.28 |
---|---|
ACMICPC 1213 팰린드롬 만들기 (0) | 2015.08.19 |
ACMICPC 2530 인공지능 시계 (0) | 2015.08.18 |
ACMICPC 1373 2진수 8진수 (0) | 2015.08.18 |
ACMICPC 1152 단어의 개수 (0) | 2015.08.17 |